인사말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SNU
바이오시스템공학 전공주임 교수 박영준

바이오시스템공학과는 70년대 농업의 기계화를 시작으로 80년대 전자공학의 발달에 의한 인한 자동화의 기술 접목, 90년대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처리(IT) 기술의 도입에 의한 정보화와 지능화 분야와 함께, 최근 2000년대의 생명공학(BT)과 환경/에너지기술(ET)을 접목하는 BT, IT, ET, NT(나노) 기술을 농업과 환경, 식품에 접목하는 융복합 공학입니다.
본 전공은 힘들고 어려운 농업생산을 기계화, 자동화하여 편리하고 경제성 있는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국민에게 안전한 식품을 안정되게 공급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최근 농업노동력 부족에 따라 농기계를 무인화하거나 로봇화하는 한편, 데이터에 기반한 스마트농업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지능화, 정보화 기술을 농식품의 품질향상은 물론 식품바이오, 및 화장품 산업까지 적용하고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함께 다루는 유망한 공학 분야입니다.
본 전공은 생물공정시스템, 바이오시스템제어 및 정밀농업, 농산가공 및 생체물성공학, 모빌리티 파워트레인 및 토양기계시스템, 바이오센서 및 농업전자, 농업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농업 생체역학 및 생물공학, 스마트팜시스템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8명의 교수가 해당 강의와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3차례에 걸친 학사과정과 대학원 과정의 교과목 개편이 있었고, 앞으로도 관련 산업과 미래의 연구 동향을 고려하여 꾸준히 교과과정을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학문으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본 전공은 197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학사 약 1,400명, 석사 300명, 박사 60명 등의 인재를 배출하여 산업체, 연구소, 학교 등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매년 공학사 약 16명, 공학석사 9명, 공학박사 6명을 배출하며, 바이오시스템공학 발전은 물론 국가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 전공은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히 전념할 수 있도록 졸업에 필요한 논문지도를 연구실별 배치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지도교수제를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진로상담과 대학생활 도움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115억원의 기금으로 운영되는 서울대학교 농공시스템공학장학재단으로부터 매학기 학부과정 약 6명, 석박사과정 35명에게 장학금을 지원받고 있어 다른 학과와 차별화되는 우수한 학업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BK21 글로벌 스마트팜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 운영을 통해 매 학기 24명의 대학원생들에게 지원을 하며, 미래 스마트농업을 이끄는 융합 혁신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의 미래를 이끌어갈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